시장 변화와 메타

Mate | GMB LABS

|

Opinion

2025-10-13

Disclaimer : 본 아티클에 언급된 내용은 GMB LABS 멤버 개인의 의견으로 GMB LABS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니다.

본 아티클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이 아니며,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도 안 됩니다.

Disclaimer : 본 아티클에 언급된 내용은 GMB LABS 개인의 의견으로 GMB LABS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니다.


본 아티클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이 아니며,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도 안 됩니다.

안녕하세요, Mate입니다.
제가 시장을 지켜보며 느낀 건, 기회가 찾아오면서 시장의 메타가 변화하고, 그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사람들이 수익을 얻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런 점에서 지난 9월에는 어떤 메타가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메타가 잠깐이라도 찾아올 수 있을지 등, 메타에 대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9월 한 달 동안 업비트가 여러 코인들을 연달아 원화 상장시키며 시장 분위기를 주도해 나갔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단순히 원화 상장 건수를 늘린 게 아니라, TGE 코인들까지 가리지 않고 상장한 부분입니다.
상당수의 TGE 코인들이 원화 상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시장 분위기는 TGE 코인들에게 시선이 몰리게 되었고, 9월 한 달은 그렇게 TGE 코인 메타가 찾아오게 됐습니다.

다만 이 배경에는 새로 취임한 오경석 대표와 함께 변화한 업비트의 방향성이 자리하고 있다고 봅니다.최근 네이버와 두나무의 합병 소문이 돌고 있는 가운데, 업비트 측에서 무리하게 이익을 내기 위한 무차별 상장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볼 수 있습니다.

TGE 메타의 그림자

상장 초기 거래소에서 설정한 매도 최저가 대비 잠깐 눈에 띄게 가격이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모두가 돈을 버는 유토피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듯, 대다수 급락하는 사례가 속출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시장 조정이라기보다는, TGE 코인들을 바라보는 기존 거래소 사용자들 또한 단기 차익을 노린 투기 수단으로 소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9월 15일에 상장한 바운드리스(ZKC)는 유통량 계획 초과 사실 등으로 10월 2일 거래 유의 종목에 지정되는 사태에 이르렀습니다. 물론 바운드리스의 미흡한 해명과 대처로 거래 유의 종목에 지정되었지만 상장한 지 한달도 안된 코인이 거래 유의 종목에 지정되는 사태에 시장 이용자들에 피해에 대해서는 업비트 측도 잘못이 아예 없다고만은 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 그럼에도 주목받는 세일

위처럼 문제점이 있는 메타지만 세일은 오히려 더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초기 세일가가 $0.015였던 WLFI(매도 최저가 $0.31, 약 20배 상승)나, $0.05였던 XPL(매도 최저가 $0.88, 약 17배 상승) 등은 투자금 대비 몇 배의 수익을 거둔 사실 때문에 이어지는 프로젝트들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Momentum

Buidlpad에서 세일을 진행할 예정인 프로젝트 Momentum입니다.
Buidlpad는 앞서 LAYER, SAHARA는 물론이고, 최근에 상장한 BARD와 FF까지 모두 업비트에 상장시킨 전례가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Momentum 역시 상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다만 Momentum은 SUI 체인 기반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현재 업비트가 SUI 개인 지갑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앞선 코인들과는 달리 상장과 동시에 원화 상장까지 이어질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 YieldBasis

Kraken과 Legion에서 함께 첫 세일을 진행했던 YieldBasis 역시 주목받는 프로젝트입니다. 25년 10월에 빠르게 TGE를 진행하며, 100% 언락을 제공하는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첫 프로젝트는 거의 실패하지 않는다는 코인계의 전통 때문인지는 몰라도, YieldBasis는 불과 1분 만에 세일이 마감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당장 내일이라도 상황이 급변하는 것이 코인 시장의 특성이기에, 몇 주 뒤를 예측하기란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

  • 계속 변화 하려는 시장

10월이 시작되면서 명절 긴 연휴 동안에는 큰 일이 없겠지라고 생각했지만, 최근 바이낸스 측에서 BNB 밈코인의 유행을 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X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 Yi He의 글 등으로 BNB 밈코인 메타가 찾아오는 듯했으나, 그리 오래 가지는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내가 쉬고 있어도 시장은 계속해서 움직이고 변화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 시장 참여 방식의 다양화

메타의 변화는 시장에도 적용되지만 시장 참여자들에게도 해당되기도 합니다.최근 시장 참여자들 중 가장 주목을 받는 건 당연 야핑입니다.야핑은 따로 세일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소셜 미디어에서 프로젝트를 알리고 설명하며 쌓은 포인트에 따라 토큰 물량을 분배받는 참여 기반 구조입니다.

물론 거저 얻는 돈은 없다는 말처럼, 일정 이상의 등급에 도달해야 하고 생각보다 많은 시간과 양질의 글을 쏟아부어야 하는 등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투자자들이 자기 자산을 들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과 달리, 야핑은 커뮤니티 활동성으로 포인트를 쌓아 실제 거래 가능한 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이는 기존의 투자자들과 전혀 다른 제3의 방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시장 참여 구조가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마치며..

아직까지 9월에 이어지던 TGE 메타가 끝났다고는 생각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위에 언급한 Momentum이나 YieldBasis는 물론이고 다른 TGE 코인들을 어디까지 언제까지 계속 상장해줄지 예상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앞서 언급한 BNB 밈코인 메타가 갑자기 찾아온 것처럼 언제든지 시장은 움직이고 이용자들 또한 바뀌어 나간다는 점을 생각하며 이 시장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atest

©2021-2025. GMB LABS

©2021-2025. GMB LABS

©2021-2025. GMB LABS